분류 전체보기566 성공은 하나의 새로운 출발점 일 뿐 당신은 어떻게 인생을 살 것인가? 우리의 인생은 건물을 지어가는 과정과 같다고 보면 되는데요 중간에 멈추거나 혹은 빠른 길로 가려고 부실공사를 한다면 무너질 수가 있겠죠? 물론 당장은 넘어가더라도 훗날에 쌓아올린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무너지는 경우가 있어요. 혹시 당신은 지금 '당신의 인생을 만족하며 성공한 인생이라고 생각하나요?' 그래서 인생의 종착점이라고 생각하고 안주한다면 차츰 실망감이 당신에게 성큼 다가올거에요. 그래서 애초에 인생의 목표가 중요한데 인생의 목표를 돈과 권력으로 정한다면 막상 그 자리에 도달하면 그 순간 성취감은 있을지언정 오래가지 못합니다. 또다시 가야 할 길을 잃고 헤맬 뿐이죠. 그래서 단순히 자신의 목표가 물질적인 것이 아닌 내적 행복의 가치, 행복 등을 추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순히 돈과, 권력은 그것을 .. 2022. 12. 22. 애주가의 숙명 역류성 식도염 술을 잘마시는 방법 먼저, 술을 같이 먹는다고 하면 항상 상대방이 물어보는 것이 있을 거예요. '주량이 어떻게 되세요?' 이러한 주량을 어떻게 결정할 수 있을까요? 사실 알코올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게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단계인데요. 이를 빠르게 분해하는 사람이 사람들이 말하는 주당이라고 불리는 사람 중 한 명이라고 할 수 있어요. 가끔 이런 경험을 해보셨나요? 한동안 술을 안 마시다가 술을 마시면 평소보다 더 빨리 취하는 것 같은 기분이 드는데요. 이것은 그저 착각이 아니에요. 오랜 기간 술을 안 마시면 다시 원래의 주량으로 돌아가는 것은 술을 꾸준히 마시면 MEOS 효소가 늘어나는데 이것이 에탄올을 분해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술이 세지는 건데요. 오랜 기간 마시지 않으면 MEOS 효소가 다시 원래의 수치로 .. 2022. 12. 22. 아무것도 하기 싫은 사람들을 위한 귀차니즘 극복 방법 하루종일 아무것도 하기 싫고 귀차니즘에 빠진 것 같나요? 아래 항목 중에 몇 개나 일치하는지 한번 살펴보도록 하세요. 쉬는날은 낮잠을 최대한으로 자고 오후쯤 되서야 움직인다. 회사와 집만 오가는 생활이 계속 반복된다. 취미도 없고 스마트폰만 하루종일 본다. 주말엔 하루종일 한 것도 없는 것 같은데 벌써 저녁이다. 사람들과 대화하는것도 귀찮고 피하게 된다. 혹시 이중에 당신은 몇 가지가 해당이 되시는 것 같나요? 만약 어느 정도 공감이 된다고 하면 끝까지 제 글을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사실 이러한 문제 중 하나가 뇌를 제대로 쓰지 않으려고 하는 건데요. 폰으로 치면 절약모드 상태로 있는 거예요. 마치 축 늘어진 슬라임 마냥 삶을 살아가게 되는데요. 가끔씩 이대로는 안 되겠다 싶어 무언가를 해야지라는 마음을.. 2022. 12. 22. 행복한 노후 생활을 위해 은퇴 전에 대비해야 할 것들 100세 시대에 걸맞게 은퇴 후의 삶의 대해 조금 더 신중하게 생각해야하는데요. 의외로 적당히 지금껏 모아 온 돈을 통해 적당히 여가시간을 즐기며 보내자는 생각으로 안일하게 생각하는 경우가 있어요. 하지만 마음에서 오는 그 허전함과 허탈함은 생각보다 크게 다가올 수 있는데요. 단순하게 누구나 살면서 한 번은 겪는 자연스러운 시기라고 생각하면 그때부터 노후생활은 쉽지만은 않은 여정이 될 거예요. 보통은 경우 50-60대가 되면 은퇴를 하는데 앞으로 살아갈 날이 인생의 거의 절반은 남았다고 생각을 해야 합니다. 앞으로 수명이 더 길어질 수도 있고요. 그래서 은퇴를 하기 전엔 어떠한 삶을 살아가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나오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데요. 만약 그러한 방향을 정해두지 않고 남은 인생을 흘러가는 대로 둔.. 2022. 12. 21. 매일 퇴사를 생각하는 직장인을 위한 퇴사 준비 방법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가슴속에 사직서를 품고 다니시는 분들이 꽤나 있을 거라고 생각이 들어요. 하지만 안정된 직장이라는 굴레에서 쉽사리 결정하기 힘든 게 바로 퇴사가 아닐까 싶어요. 이건 가정이 있을수록 혹은 나이가 있을수록 점점 힘들어지는데요. 그래서 몇몇 젊은층에 사람들은 '지금 다니고 있는 이 직장이 정말 나에게 맞는 길일까?' 고민을 자주하게 되는데요. 그런 고민 끝에 여러 번 이직과 퇴사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색깔의 직업을 찾아가게 됩니다. 하지만 모든 이들이 그런건 아니에요. 그 타이밍을 놓치거나 혹은 일은 자신에게 안 맞지만 형편이 어려워 그냥 쭉 다니고 있는 사람들도 꽤 많아요. 오늘은 그 타이밍을 뺏긴 사람들에 대해 이야기를 다뤄볼까하는데요. 사람들은 곧잘 말하곤 합니다. 모두에게는 자신만.. 2022. 12. 21. 티스토리 블로그 네이버 구글 검색등록과 rss와 sitemap 제출하는 방법 네이버 블로그와는 다르게 티스토리는 단순히 초반에 글만 올리는 게 아니라 설정해줘야하는게 있는데요. 그중에하나가 바로 네이버 웹마스터와 구글 웹마스터를 등록하는 거예요. 이것을 등록해야지 검색을 했을 때 구글과 네이버에도 제 글이 노출이 되는데요. 순서대로 잘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네이버 등록부터 해보도록 할게요. 검색창에 네이버 웹마스터를 치시고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란 항목을 눌러주세요. 그럼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뜨실 텐데 오른쪽 위에 웹마스터 도구를 눌러주세요. 그리고 본인의 티스토리 블로그명을 입력하신 후에 엔터를 눌러주세요. 그럼 다음 HTML 태그 항목을 눌러주신 다음 아래에 적힌 메타 태그를 복사해주세요. 그런 다음 블로그 관리 모드로 들어와서 스킨 편집으로 들어가 줍니다. 그리고.. 2022. 12. 20. 세상을 바꾼 천재들의 공통점인 몰입하는 방법 몰입이란 한 가지 목표를 위해서 자기가 할 수 있는 최대 능력을 발휘하는 초긴장 상태를 말하는데요. 다른것은 모두 다 잊고 오로지 한 가지에 집중을 하는 것입니다. 세계적인 과학자 뉴턴에게 누군가 물은 적이 있어요. '중력의 법칙을 어떻게 발견했나요?' 그러자 뉴턴은 오로지 한 가지 만을 끊임없이 생각하다 보니 발견했다고 했는데 그의 몰입은 잠자는 것과 밥 먹는 것까지 잊을 정도로 한 가지에 몰입을 하기 시작하면 하루 종일 집중을 했다고 하는데요. 이는 몰입이란 단어의 장점과 단점을 명확히 보여주는데요. 뉴턴은 자신의 몸이 상한지도 모르고 몰두했고 심지어 사교적인 활동에도 관심이 너무 없어서 거의 모든 시간을 집에서만 보냈다고 합니다. 우리가 삶에서 몰입을 할 수밖에 없는 순간이 언제일까요? 예를 들어 .. 2022. 12. 20. 글 3개 적고 한번에 애드센스(=애드고시) 합격한 비결 티스토리 블로그는 시작한 지 2일 차에 글 3개를 적고 바로 신청을 했는데요. 첫 번째 글이 12월 3일인 것을 제 글을 보면 알 수가 있어요. 글을 처음 적는 건 아니었고 네이버에서 한 10년 하다가 와서 나름 자신은 있었지만 워나 애드센스는 애드고시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쉽지 않다는 글들을 많이 봐서 은근 긴장이 되긴 하더라고요. 그래도 심사기간 중에 최대한 열심히 적으면 인정해주지 않을까 하고 네이버 블로그 할 때도 평균 하루에 한 개씩 적던 글을 거의 평균 2개씩은 적었던 거 같아요. 혹시나 의심할까 싶어 2일 차에 바로 신청 올린 애드센스 신청 메일도 올립니다. 이렇게 2일 차에 바로 패기롭게 애드센스 신청을 하고 미친 듯이 올리기 시작해요. 사실 네이버에서도 본격적으로 할 땐 평균 한 개씩 올.. 2022. 12. 19. 눈 건강을 지키는 12가지 생활습관과 눈 건강에 좋은 음식 저희 인간은 정보의 90%를 눈을 통해서 얻고 있는데요. 요즘 현대인은 눈을 아주 혹사시키는 경우가 굉장히 많아요. 그리곤 꼭 문제가 터지게 되면 병원을 가거나 후회를 하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아무리 시력이 좋았던 사람들도 하루아침에 실명이 될 수가 있어요.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녹내장으로 실명의 원인중 1/4이나 차지하는데요. 나이를 먹어서 생긴다고 아는 사람들이 대부분이겠지만 잘못된 습관들로 인해 점점 질병이 걸리는 시기는 앞당겨져 40대에서도 많이 발병을 하고 있어요. 그럼 시력 보호를 위한 눈 건강 지키는 12가지 습관들을 알려드리도록 할게요. 1. 야외 활동 시 선글라스를 자주 끼자. 보통 선글라스 하면 여행 다니거나 할 때 멋을 부리기 위해서 많이들 끼는데요. 자외선을 막기 위해서 선글라스 .. 2022. 12. 19. 인생은 말과 행동 즉 습관들이 하나 하나 모여 결정된다. 현재의 나를 만든 것은 '습관'이라고 할 수가 있는데요. 그러한 습관을 의식적으로 바꿔 나갈 수만 있다면 당신의 미래는 스스로가 정할 수 있어요. 흔히들 하는 착각들이 있죠. '인생은 결국 타고나는 거라 어떻게 노력해도 결국 나는 안된다.' 하지만 그런 인식이 자리 머릿속에 있고 그러한 부정적 생각 때문에 자신이 항상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지 한 번쯤은 의심을 해봐야 합니다. 성공한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공통점으로 한 가지가 겹치는 부분이 있어요. 바로 꾸준히 무언가를 하는 습관이죠. 능력이란 수많은 습관들로 인해 탄생됩니다. 하루아침에 능력이 만들어질 순 없어요. 그러한 습관을 만들기 위한 도전을 하는 사람들이 많긴 하지만 대부분 실패하는 경우가 많아요. 예를 들어 아침마다 운동하기, 독서하기 등 많은 .. 2022. 12. 19. 이전 1 ··· 51 52 53 54 55 56 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