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번 6월에 출시하게 되는 청년도약계좌는
무엇인지에 대해 설명드려볼까 하는데요.
이전엔 이미 한차례 나왔던 청년희망적금과
비교가 될 수밖에 없을 텐데요.
먼저 이미 실행이 된 청년희망적금부터
한번 알아보도록 합시다.
청년희망적금의 혜택은?
이제 막 직장생활을 하게 된 청년이라면
목돈 마련을 위해 꼭 실행해야 상품중 하나인데요.
최근에 실행된 청년희망적금에 대해서 한 번쯤은
다들 들어보셨을 텐데요.
이 와중에 청년도약계좌가 조마간 나온다고 하니
어떤 걸 선택해야 좋은지 고민 중인 청년들이
많을 텐데요.
먼저 청년희망적금이란 2년 동안 매월
50만 원 이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상품인데요.
청년희망적금의 자격 요건은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의 청년만 가입이 가능하며
총급여가 3600만 원 이하이거나 종합소득세가
2600만 원 이하인 경우에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이런 청년희망적금의 장점은 역시 높은
이자율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최근 막 5-6%의 적금통장에 사람들이
엄청 몰린 것 혹시 기억하시나요?'
청년희망통장은 무려 9%의 이자율을
가지고 있는 효율최고인 적금통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거기다가 청년적금통장은 비과세가 적용되어
세금에 대한 부담도 줄여주는데요.
직장을 다닌다면 반드시 한번 신청을
넣어보는 게 무조건 좋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혜택과 신청조건은?
개인적인 생각은 청년희망적금은 조금 더 짧은 기간에
소소한 돈을 벌 수 있다는 점과 다르게
청년도약적금은 5년이라는 짧은 면 짧고
나름 길다고 하면 제법 긴 기간 동안
매월 40-70만 원씩 5년간 납입을 하여 만기 시
약 5000만 원까지만들 수 있는 정책인데요.
매월 3%에서 6%의 이자를 추가로 지원해 주는
정책 중 하나입니다.
만약 5년 만기까지 꾸준히 넣는다면
약 800만 원 정도의 추가지원을 받는다고
생각을 하시면 되는데요.
자격요건은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하게
만 19세 이상 만 34 청년이하의 청년만
대상으로 하며 개인소득은 연 6000만 원 이하의
대상만 가능합니다.
그리고 중위소득 180% 이하의 자들만 신청이
가능하다고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청년도약계좌가 조금 다른 점은
바로 차등 이자 방식이 도입이 되는 건데요.
소득이 낮은 사람의 경우 최대 6% 지원을 하며
소득이 높은 사람은 3% 지원을 해준다는 점입니다.
아무래도 힘든 사람에게 조금이라도 더
도움을 주겠다는 제도인데요.
사실상 청년들의 위한 제도치 고는 살짝
부담스러울 금액인 40-70만 원이라는 게 조금
아쉽긴 합니다.
실제로도 이 금액을 매달 내는 것이 부담스러워
포기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하니
5년 동안 꾸준히 낼 수 있는 각오가 있는
사람들은 시도를 해보는 것이 무조건
좋다고 생각은 듭니다.
청년희망적금 vs 청년도약계좌?
물론 청년도약계좌는 6월에 출시되는 만큼
기간이 좀 남긴 했는데요.
굳이 둘 중 하나를 선택하고자 한다면
솔직히 요즘처럼 물가가 끊임없이 치솟는
경제를 생각하여 안전하게 청년희망적금이
청년도약계좌보단 조금 더 부담이 덜 되고
무엇보다 매달 50만 원 이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좋지 않나 생각을 해보긴 하지만
생각하기 나름인 것 같아요.
만약에 자신이 자금에 여유가 좀 있고 매달 40-70만 원을
내는 것이 전혀 부담스럽지 않다면 개인적으론
일단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를 같이
가장 BEST라고 생각을 합니다.
물론 현 상황에서는 지금의 청년적금통장을
안 넣는 게 이상할 정도로 좋은 조건이긴 하지만
최근의 금리인상속도로 보면 간혹 가다가 10% 정도의
적금이 나오기도 하는 등 그런 상황이
생기곤 하다 보니 차라리 그런 적금통장을
잡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하는 사람도 있을 거예요.
하지만 경쟁률이 너무 치열하고 자꾸 갈아타다간
만기가 점점 늦어지게 되는 점을 고려한다면
그런 생각을 할 시간에 하루라도 빨리 효율 좋은
적금을 드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niniz/large/012.gif)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전기차 보조금 신청방법 및 전기차 충전소 현황 (1) | 2023.03.01 |
---|---|
하이퍼인플레이션이란 무슨 뜻이며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 이유는? (0) | 2023.02.15 |
무주택 청년 월세 지원금 지원 자격 요건 및 신청 방법 (0) | 2023.02.14 |
실업급여 수급자격 자진퇴사 했을때 신청 가능한 유형 (8) | 2023.02.13 |
2023년 청년도전지원사업 지원 대상 및 신청 방법 (0) | 2023.02.10 |
국민연금 2054년 고갈 예정?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1) | 2023.02.01 |
실업급여 수급자격 조건과 기간 및 금액은 어떻게 바뀌나? (2) | 2023.01.31 |
카카오톡 인증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방법 및 제출 기간 (0) | 2023.01.26 |
댓글